본문 바로가기

박서방의 문화생활/영화 모아보기

단 한 사람을 위하여 - <마션(The Martian)>(2015)

반응형




많은 이들이 <인터스텔라>에 버금가는 역작이 나왔다, 혹은 우주판 <캐스트 어웨이>가 나왔다며 흥분하더라. 그래서 <마션(The Martian)>을 봤다. 'Martian'...가만 보자, '화성인'을 말하는 건데? 그렇다면 '화성인'이 화성에서 생존하는 이야기겠군. 뻔히 드러나는 '생존 영화'의 한 부류겠거니,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영화관에 갔다.

광활하다 못해 황량한 붉은 땅의 화성은 "생명이 과연 있기는 한걸까?" "여기서 살아갈 수 있을까?" 의심을 품게 되는, '죽음의 땅'만 같다. 여기서 탐사를 하던 미 항공우주국(NASA)의 아레스3 탐사대가 모래 폭풍을 만나 화급히 탐사선으로 귀환한다. 이 과정에서 마크 와트니(맷 데이먼) 대원이 장비 파편에 맞아 폭풍 너머 어둠으로 빨려 들어간다. 대원들은 그가 "사망했다" 판단하고, NASA 역시 이를 기정사실화한다.

하지만, 마크 와트니는 죽지 않았다. 살아 있었다. 영화는 두 개의 '투쟁기'가 서사의 큰 축이다. 마크 와트니 스스로의 생존 투쟁과, 그를 지구로 귀환시키기 위한 수많은 이들의 노력 투쟁. 마크 와트니는 식물학자인 자신의 본업을 살려 '똥'을 거름 삼아 화성의 흙으로 '화성산 감자' 농사를 지어 자급자족에 성공한다. 수소와 산소를 결합해 물을 만들어 내기도 하고, 결코 만지지 말라는 '방사선 동위원소 배터리'를 꺼내 로버(이동 차량)에 장착해 기존 배터리 용량을 아끼는 센스를 발휘한다. 여기까진 기상천외한 아이디어가 빛난다.

하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세계인이 하나가 된 '마크 와트니 귀환 프로젝트'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며 우주 예산이 깎여 나가는 흐름을 반영한 듯, 영화 속 NASA 역시 예산 확보에 전전긍긍하는 '좀스러운' 모습이 보인다. 냉전 시대 달에 인류의 발자국을 새기고, 인간의 목소리를 담은 레코드판을 우주선에 실어 쏘아 보내던 담대한 위상은 저 멀리 은하수로 날아갔다. 돈 한 푼에 매다는 NASA지만, 그럼에도 마크 와트니 한 사람을 위해 보급품을 실어 우주선을 쏜다. 지구로 귀환하던 대원들 역시 단 한 사람의 생명을 위해 자신의 목숨이 달아날 수 있는 위험한 도박을 기꺼이 감수한다. 그를 구출하러 다시 화성으로 기수를 돌린다.

단 한 사람의 목숨이라도 중하다는 원칙은 동서고금의 진리지만, 어째 내가 살아가는 이 땅에선 낯선 말씀이다. "살려야 한다"는 궁서체 글씨를 붙이고도 추가 감염자 관리에 실패했고, 국내 굴지의 대형병원은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해선 애초 방역 관리조차 도외시했다. 300여 목숨이 쇳덩어리 뱃 속에서 차오르는 바닷물이 우걱대는 공포를 마주할 때, 고작 헬기 몇 대에 자그마한 함정 조금 보내고 바깥에서 "나오라" 확성기 외친 게 우리의 전부였다. 그나마도 초기에 인명 구조에 혁혁한 공을 세운 건, 고기 잡으러 나왔던 '어부'들이었다.

미국을 '우리나라'로 치환했다 치자. "정부 예산이 몇 천억, 아니 몇 조가 투입될 수 있는데 허무맹랑한 짓 아니냐"며 '생존 사실' 자체를 덮어버릴 수도 있을 게고, "저 돈으로 우주인 하나 살리느니 차라리 가난한 사람들 도와라"며 본질을 흐리는 이들도 분명 생겨날 게다. 생각이 꼬리를 물수록 참, 암담하다.

온라인에서 수 년 전부터 미국더러 '천자의 나라'라며 '천조국'이라 떠받들고 칭송한다. 괜한 칭송이 아닌가보다. 이들의 독립선언서 전문을 살펴봐도 '인간 존중'의 정신이 흐른다. 전통에서 "사람을 귀히 여기는" 생각이 밑바탕이 된 게다. 엔딩을 수놓는 디스코 음악(마크는 "듣기 지긋하다"고 치를 떠는데, 뭐, 난 몸이 들썩거리는 게 딱 좋던데?) "I will survive"가 말하는 'survive'는 나만의 '생존'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합심한 '생존'이다. 그것인즉 '연대'다. 모두가 살아야, 내가 살아갈 의미가 있지. 그렇지요?

PS1. 영화 <마션>은 오늘날 세계의 변화된 상을 많이 반영해서 눈길이 간다.

NASA의 '마크 와트니 구출 프로젝트'를 잠자코 지켜보던 중국 국가항천국은 자신들의 최신 기술이 깃든 '태양신 로켓'을 기꺼이 여기에 써먹도록 허용한다. 이에 대한 답례로 후일 NASA의 '아레나5' 탐사선 발사 프로젝트에는 중국 출신 우주인도 참여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갈등과 경쟁을 하며 서로 온전히 믿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전략적 신뢰'는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국익과 실리를 취하는 미-중 양국의 외교 원칙 '증신석의(增信釋疑)'가 반영돼 있다. 미국과 중국 양국 모두 협력을 하며 세계 평화에 기여한다는 대의 명분을 확보했다. 중국은 우주인 마크 와트니를 '미국인'이 아닌, '과학을 공부하는 연구인'으로 대한 것이 신의 한 수다.

우주 연구 인력으로 유색 인종(아시안, 아프리칸 등)의 활약이 돋보이는 것도 눈여겨볼 일이다. 보급선을 발사할 로켓을 만드는 연구소 총책임자는 중국계 미국인이다. 잔존 대원들이 탄 '헤르메스호' 기수를 화성으로 돌려 마크가 탄 상승선과 도킹시키게 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낸 NASA 우주역학팀 소속 '리치 퍼넬'은 검은 피부의 사내다. 인종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고급 인재로 얼마든지 유색 인종이 활약하는 개방적인 시대상을 잘 반영했다. (그래도, 아직 미 유수의 사립대에서 아시안들이 입학 거부를 당하는 등 역차별을 받는 것을 보면...갈 길이 멀긴 허다. 흑인들을 대상으로 한 경찰들의 강경한 태도 역시 문제긴 하고...)

PS2. 영화의 등장인물들을 맡은 배우들 면면을 살펴보니, 낯익은 배우가 많더라. '맷 데이먼'은 너무 많이 호명되니 논외로 하고...미드 <뉴스룸>에서 앵커로 활약하던 윌 맥어보이 양반(제프 다니엘스 분)이 NASA의 테디 국장으로 나올줄야...! <하우스 오브 카드>에서 프랭크 뒤를 졸졸 따라다니며 기삿감 얻어먹던 조이 반스 기자(케이트 마라 분)는 대원으로 나오고! 소싯적 <007 골든아이>에서 제임스 본드에 대적하던 006 알렉(숀 빈 분)도 여기서 보다니! (근데 주름이 되게 많아졌다...너무 늙어버렸어...T.T) 여러모로 흥분에, 또 흥분이 이어졌다.


엔딩에 삽입된 "I will Survive"(Gloria Gaynor 노래) 유튜브 영상 하나 투척하고 물러간다. 아직도, 영화의 여운이 가시지 않아...아아. 화성으로 가버렷!




반응형